시설관리 전기 법규 준수 감사 준비 절차 실무 가이드
전기설비 법규 준수 감사를 D-45부터 D+7까지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 자료 패키지, 현장 동선, 질의응답 스크립트, 체크리스트와 KPI로 초보 관리자도 바로 적용 가능합니다.
이 글은 전기설비 법규 준수 감사를 앞둔 초보 시설관리자·관리소장·건물주님께 준비 절차의 표준 운영 프로세스(SOP)를 제공합니다. 전기설비기술기준·전기사업법·일반 기관 점검 관행을 토대로 문서–현장–인터뷰 3축을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감사 준비의 큰 그림: “자료·현장·사람” 동시 정렬
감사는 무엇을 갖고 있나(자료), 실제로 그렇게 운영되나(현장), 왜 그렇게 하나(사람/인터뷰)를 묻습니다.
핵심은 세 축이 같은 이야기를 하도록 사전 정렬하는 것입니다.
-
자료: 바인더 1권 + 클라우드 1맵, 동일 구조·파일명 규칙
-
현장: 라벨–스케줄–도면 95% 이상 일치, SPD·접지·ATS 등 중점 구역 정비
-
사람: 질의응답 스크립트, 역할 분담(기술/운영/안전/문서 담당)
타임라인 SOP — D-45 / D-14 / D-7 / D-day / D+7
D-45: 갭 분석 & 계획 수립
-
법규 요지 1페이지: 이번 감사 포커스(예: 보호협조, 접지·등전위, SPD, ATS) 요약
-
갭 분석: 설비·운영·문서 H/M/L 등급화
-
캘린더: 시정·재측정·교육·교정·리허설 일정 고정
-
자료 트리 착수:
01_요약&현황 02_도면_정정값_스케줄(QR) 03_시험성적_측정로그(절연/접지/Zs/RCD/상회전) 04_SPD_접지_관통부_증빙 05_비상전원(발전기/UPS/ATS_무/유부하_복전카드) 06_MOC(변경관리)_사용전확인 07_교육_교정_자격 08_내부점검_지적-개선-재검증(폐루프) ZZ_체크리스트_템플릿
D-14: 시정·재측정 집중 주간
-
보호협조: 정정값표·선택차단 곡선 업데이트, 말단 루프임피던스(Zs) 샘플링
-
SPD: T1/T2/T3 계층 확인, 접속 길이(mm) 단축, 차단기/퓨즈 연계 도면 보완
-
접지(어스)/등전위: 저항·연속성·부식 보수, 재측정 성적 확보
-
관통부 방화: 인증–라벨–시공 사진–점검표 4종 일치
-
ATS: 무부하(월)/유부하(분기), 자동/수동 절체·복전 시간 로그(예: 자동 6.2 s / 수동 42 s / 복전 3분10초)
D-7: 모의감사(리허설)
-
동선 리허설: 수전 → 분전반 → 말단(Zs/RCD) → SPD/접지 → ATS → 관통부 → 특수장소 순서
-
사진·로그·도면 상호 참조: 사진 캡션에 “도면 p.12 / 결과표 #07 / 교정 2025-04-03 유효” 표기
-
인터뷰 리허설: 각 담당 3문장 안 답변 훈련(근거–현장–재발방지)
D-day: 감사 당일 운영
-
1페이지 요약을 첫 장에 제시(현황·주요 수치·KPI)
-
보여주는 순서 통제: 라벨–스케줄–QR–도면 일치 → 내부 상태 공개
-
질의응답 스크립트:
-
기준 근거(전기설비기술기준/전기사업법) → 현장 수치(Zs·RCD·ATS 로그) → 재발방지(점검·교육·교정 주기)
-
D+7: 지적 사항 폐루프(종결 보고)
-
H/M/L 등급으로 나눠 즉시조치·예방조치·재검증 기록
-
8칸 결과표로 종결: 항목/근거/기준/측정/판정/기한/책임/증빙
인터뷰(질의응답) 스크립트 — 3행 구조
보호협조·정정값
-
“(근거) 선택차단을 위해 상·하위 차단기(MCCB) 정정값표와 곡선을 최신화했습니다.
(현장) 말단 회로 Zs 평균 0.96 Ω(220 V 기준 1.20 Ω 이내)입니다.
(재발방지) 증설 시 MOC 의무화, 7일 내 도면·정정값 업데이트.”
RCD(누전차단기)
-
“(근거) 인버터 회로는 형식(Type A/F/B) 적합성 검토가 필요합니다.
(현장) 분기마다 동작전류/시간 로그를 기록 중입니다.
(재발방지) 오동작 회로는 분리·형식 교체, 교육 10문항 평가 병행.”
SPD
-
“(근거) T1/T2/T3 계층과 접속 길이 최소화가 핵심입니다.
(현장) 접속 길이 90 mm, 차단기(차단용량 kA) 연계 도면 첨부했습니다.
(재발방지) 낙뢰기 대비 점검표와 상태 LED 월 점검.”
ATS·비상전원
-
“(근거) 무부하(월)/유부하(분기), 자동/수동 절체, 복전 관리가 요구됩니다.
(현장) 자동 6.2 s / 수동 42 s / 복전 3분10초 로그 보유.
(재발방지) 복전 카드 상시 부착, 수동 절차 월 1회 훈련.”
감사 패키지 구성 — “한 장 요약 + 8칸 결과표 + 증빙 3종”
-
한 장 요약: 설비 개요(kVA, 220/380 V, 60 Hz), KPI(일치율·교정 유효율·ATS 로그), 리허설 일자
-
8칸 결과표(템플릿)
항목 | 근거(법/기준) | 기준/허용치 | 측정/증빙 | 판정 | 기한 | 책임자 | 완료증빙 Zs(220 V) | 기술기준 | ≤ 1.20 Ω | 0.96 Ω(로그·사진) | 합 | - | 김OO | p.10 RCD 동작 | 기술기준 | 전류/시간 | 테스트 로그 | 합 | - | 이OO | p.15 ATS 절체 | 운영기준 | 자동·수동·복전 | 6.2 s/42 s/3'10" | 합 | - | 박OO | p.20 -
증빙 3종: 사진(전/후 동일 앵글) + 로그(CSV/PDF) + 도면/정정값(QR 연계)
현장 중점 구역별 준비 포인트
1) 분전반·도면·라벨·스케줄
-
합격선: 일치율 95% 이상(샘플링 60점)
-
팁: 패널 도어 안쪽에 QR 부착(도면/정정값/성적 읽기 전용)
2) 보호협조·루프임피던스(Zs)
-
절차: 단락전류 계산 → 차단용량(kA) 검토 → 정정값표 → Zs 측정·판정
-
주의: 정정 변경 시 도면·스케줄 동시 업데이트
3) SPD·접지(어스)·등전위
-
SPD: 계층(T1/T2/T3), 접속 길이(mm), 차단기 연계 사진·도면
-
접지/등전위: 저항·연속성·부식 보수, 계절성 점검(해빙기/우기)
4) ATS·비상전원
-
로그: 자동/수동 절체·복전 시간, 무부하·유부하 시험 결과
-
현장: 복전 시나리오 카드 패널 도어 부착(절차·시간 표기)
5) 관통부 방화
-
필수: 인증–라벨–시공 사진–점검표 4종 일치 + 위치도(ID)
KPI 대시보드(감사용) — 한눈에 보여주기
-
도면–라벨–스케줄 일치율 % (목표 ≥95%)
-
계측기 교정 유효율 % (목표 100%)
-
ATS 자동/수동/복전 시간 (목표 예: 5–8 s / 30–60 s / ≤ 5분)
-
Zs 합격 비율(샘플링 n점, 기준 병기), RCD 동작 합격률
-
지적–개선–재검증 폐루프 완료율(목표 100%)
감점/지적 Top 8과 예방 팁
-
구버전 도면 노출 → 공사 후 7일 내 업데이트·구버전 회수
-
라벨·스케줄 불일치 → 분전반 스케줄에 정정값까지 병기
-
RCD 오동작 → 인버터 회로 형식(Type) 재검토, 회로 분리
-
SPD 반복 손상 → 접속 길이 단축, 계층 보강, 차단 연계 도면
-
접지 불량 → 본딩 연속성·부식 보수 후 재측정
-
ATS 수동 부재 → 복전 카드 부착, 월 1회 수동 훈련
-
관통부 방화 미흡 → 4종 일치 + 위치도(ID)·시공 전/후 동일 앵글
-
교정 성적 만료 → 월간 점검표에 유효기간 열 추가, 대체 장비 리스트
체크리스트
-
1페이지 요약 & KPI 대시보드
-
바인더 1권 + 클라우드 1맵(동일 구조·책갈피·README)
-
도면–라벨–스케줄 95%↑ 일치, QR 연결
-
정정값표·선택차단 곡선 최신, 말단 Zs 샘플링(220/380 V, 60 Hz)
-
RCD 동작 로그, 인버터 회로 형식(Type A/F/B) 적합
-
SPD T1/T2/T3, 접속 길이 mm 표기 사진, 차단 연계 도면
-
접지/등전위 저항·연속성·부식 보수 증빙
-
ATS/비상전원 무·유부하, 자동/수동, 복전 카드·시간 로그
-
관통부 방화 인증–라벨–시공 사진–점검표 4종 일치
-
교육(10문항 평가)·교정 성적 유효, 지적–개선–재검증 폐루프 100%
FAQ
Q1. 자료가 방대합니다. 무엇부터 보여줄까요?
A. 1페이지 요약 → KPI → 사진·로그·도면 교차 참조 순입니다. “한눈에 이해”가 최우선입니다.
Q2. 자동 시험만 했는데도 되나요?
A. 비상전원은 자동/수동/복전 3종이 함께 관리되어야 실제 대응력으로 인정됩니다.
Q3. RCD가 자주 트립합니다.
A. 인버터 회로의 형식(Type) 적합성, 회로 분리, 누설경로 점검을 병행하세요.
Q4. 예산이 부족합니다. 우선순위는?
A. 보호협조(정정값·Zs) → ATS/비상전원 → SPD → 관통부·접지 순으로 리스크 절감 효과가 큽니다.
본 글은 일반 시설 전기 안전 안내이며, 관련 법령·관할 기관 지침을 우선하세요. 업데이트: 2025-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