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관리 전기 전기설비 검사 대상 주요 기기 한눈에 정리

전기설비 검사 대상을 기기별로 정리했습니다. 수전·배전·보호·접지·SPD·비상전원·특수장소 핵심 점검 포인트와 주기를 표·체크리스트로 제시합니다.

전기설비 검사는 “무엇을, 어떻게, 얼마나 자주” 확인하느냐가 핵심입니다. 이 글은 초보 시설관리자·건물주·관리소장님이 검사 대상 주요 기기를 빠르게 구분하도록 구성했습니다. 근거 체계는 현장에서 통용되는 전기설비기술기준전기사업법, 그리고 일반적인 기관 가이드를 따릅니다.


시설관리 전기 전기설비 검사 대상 주요 기기 한눈에 정리


검사 대상 범주의 큰 그림: “수전–배전–보호–접지/피뢰–비상–특수”

검사 항목을 설비 생애주기보다 전류의 흐름 기준으로 나누면 누락이 줄어듭니다.

  1. 수전: 변압기·주개폐기·계측·보호계전

  2. 배전: 메인·분전반·배선·케이블트레이·관통부

  3. 보호: MCCB/OCR/RCD, 선택차단, 루프임피던스(Zs)

  4. 접지/피뢰: 접지(어스)·등전위 본딩·SPD(서지보호)

  5. 비상전원: 발전기·UPS·배터리·ATS 자동/수동 절체

  6. 특수장소/신재생: 방폭·의료·IT실, 태양광(PV)/ESS


주요 기기별 점검 포인트와 권장 주기(현장 요약 표)

분류주요 기기핵심 점검 포인트권장 주기
수전변압기절연·온도·누유, 탭, 차단용량(kA) 일치월 시각/분기 측정
주개폐기/계기접점 마모·토크, 인터락, 계기 정확도월/분기
배전메인·분전반라벨–스케줄–도면 95%↑ 일치, 발열, 절연월/분기
배선·트레이허용전류·전압강하, 지지 간격, 정리 상태월/반기
관통부자재 인증–라벨–시공 사진–점검표 4종 일치분기
보호MCCB정정값, 선택차단 곡선, 단락전류 일치분기
RCD동작전류/시간, 인버터 회로 형식(Type)분기
루프임피던스Zs(예: 220 V 회로 Zs ≤ 1.20 Ω)분기
접지/피뢰접지(어스)·등전위접지저항, 본딩 연속성, 부식분기/계절
SPDT1/T2/T3 계층, 접속 길이 최소화, 차단 연계분기
비상전원발전기무부하/유부하, 기동·복전, 연료·냉각월/분기
UPS/배터리방전 시험, 리플·온도, BMS 로그분기
ATS자동/수동 절체, 복전 시나리오 카드월(무)/분기(유)
특수방폭/의료/IT실구역 등급 적합, 환기·감지 연계분기
신재생PV/ESS절연·접지·DC 아크, BMS·소화분기

수전 설비: 변압기·주개폐기·계측

  • 변압기: 절연저항·기름 가스(유중)·온도, 탭 위치 기록, 누유 점검. 차단용량(kA)이 단락전류 계산과 맞는지 확인.

  • 주개폐기/계기: 접점 마모·토크, 기계/전기 인터락, 계기 오차. 계기 교정 성적은 유효기간 확인.

  • 실무 팁: 변압기 팬/펌프 상태 로그와 온도 추세 그래프를 분기마다 출력해 보고서에 첨부하세요.


배전 설비: 분전반·배선·관통부

  • 분전반: 패널 도어 라벨–스케줄–도면 일치성 95%↑가 합격선. 발열(열화상)·절연·내부 이물.

  • 배선·트레이: 허용전류·전압강하, 처짐·곡률, 지지 간격 표준.

  • 관통부: 방화 충전재 인증–라벨–시공 사진–점검표 4종 일치가 핵심.

  • 실수 예방: 증설 후 7일 내 도면/스케줄 업데이트·구버전 회수, 위치도에 관통 ID 표기.


보호 장치: MCCB/OCR/RCD·루프임피던스

  • MCCB/OCR(과전류계전기): 정정값표 최신화, 선택차단 곡선 검토, 모선·말단 보호 협조.

  • RCD(누전차단기): 동작 시험 로그, 인버터 회로는 형식(Type A/F/B) 적합성 확인.

  • 루프임피던스(Zs): 말단 콘센트·조명 회로 샘플링. 예) 220 V 회로 기준 Zs ≤ 1.20 Ω 등 현장 기준 병기.

  • 현장 팁: 정정 변경 시 도면·스케줄·정정표를 동시에 갱신하고, 변경 이력을 바인더에 꽂아 검사관 질의 시간을 줄입니다.


접지·등전위·피뢰(SPD)

  • 접지(어스)/등전위: 접지저항·연속성(도장 절연부 주의), 부식 포인트 점검. 계절(해빙기/우기) 편차 관리.

  • SPD(피뢰설비): T1/T2/T3 계층 구성, 접속 길이(mm) 최소화, 차단기/퓨즈와 백업 보호 연계.

  • 증빙 포인트: SPD 경로 사진에 치수(mm) 오버레이, 연계 차단기 사양(kA)·도면 페이지를 사진 캡션에 병기.


비상전원: 발전기·UPS·ATS

  • 발전기: 월 무부하·분기 유부하, 기동/정지·복전 시간 기록, 연료·윤활·냉각.

  • UPS/배터리: 방전 시험, 리플 전압, 모듈 온도, BMS 알람 이력.

  • ATS(자동절체개폐기): 자동/수동 절체 모두 테스트, 복전 시나리오 카드 패널 도어 부착.

  • 로그 예시: 자동 6.2 s / 수동 42 s / 복전 3분 10초(목표 복전 ≤ 5분).


특수장소/신재생: 방폭·의료·IT실·PV/ESS

  • 방폭: 구역 등급·장비 적합, 케이블·관 통과부 처리, 환기·감지 연계.

  • 의료/IT실: 무정전 요구, 접지 체계, 정전기 대책, 누설전류 관리.

  • PV/ESS: 절연·접지·DC 아크, BMS·소화·격납·환기, 연계 보호협조.

  • 문서화: 인증서·등급 도면, 시험 성적, 인터락/차단 연계 도면을 묶어 제시.


현장 체크리스트

  • 분전반 라벨–스케줄–도면 일치율 95%↑, 샘플링 60점 이상

  • 루프임피던스(Zs)·RCD 동작·상회전 측정 성적(220/380 V, 60 Hz, kA/kVA/A)

  • MCCB/OCR 정정값표 및 선택차단 곡선 최신, 단락전류·차단용량(kA) 일치

  • SPD T1/T2/T3 계층, 접속 길이 mm 표기 사진, 차단 연계 도면

  • 접지/등전위 저항·연속성, 본딩(프레임·트레이) 확인, 부식 보수

  • 발전기/UPS/ATS 무·유부하 시험, 자동/수동 절체, 복전 카드 부착·로그

  • 관통부 방화: 인증–라벨–시공 사진–점검표 4종 일치, 위치도(ID) 부여

  • 측정기 교정 성적 유효(스티커·스캔), 대체 장비 리스트

  • 바인더·클라우드 폴더 구조 동일화, 책갈피·README 링크


사진·로그·도면 “보여주면 끝” 5원칙

  1. 전/후 동일 앵글(거리·각도·초점)

  2. 치수 표기(SPD 접속 길이, 케이블 간격 등)

  3. 라벨 가시화(패널명·회로번호·정정값)

  4. QR로 도면/정정값/성적 연결(읽기 전용)

  5. 캡션에 상호 참조(예: “도면 p.12, 결과표 #07”)


초보자가 자주 묻는 질문(FAQ)

Q1. 모든 기기가 법정 검사 대상인가요?
A. “전 구간 관리”가 원칙이지만, 특히 수전·보호·접지/피뢰·비상전원·특수장소는 관리 강도가 높습니다.

Q2. RCD가 인버터 회로에서 자꾸 트립합니다.
A. 회로 특성에 맞는 **형식(Type A/F/B)**을 적용하고, 누설 경로·접지·배선 분리를 병행하세요.

Q3. SPD를 설치했는데도 손상이 반복됩니다.
A. 계층 누락·접속 길이 과다·차단 연계 미흡이 흔한 원인입니다. 사진·도면으로 경로·연계를 증빙하세요.

Q4. 문서가 많으면 합격이 쉬워지나요?
A. 길이보다 접근성이 중요합니다. 1페이지 요약 + 책갈피·클라우드 링크로 검사관 동선을 줄이세요.


본 글은 일반 시설 전기 안전 안내이며, 관련 법령·관할 기관 지침을 우선하세요. 업데이트: 2025-10-30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시설관리 전기 법규 준수 관련 인증 제도 한눈에 정리 가이드

시설관리 전기 전기설비 검사 보고서 작성 요령

LED 없이도 밝아지는 베란다: 반사판·배치·바닥 색만 바꿔 광량 올리는 5가지 트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