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관리 전기 법규 준수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 체크리스트 가이드
전기설비 법규 준수 모니터링 시스템을 4주 만에 도입하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데이터 수집·알림·대시보드·증빙·보안·운영 주기까지 초보 시설관리자도 바로 적용 가능합니다.
전기 설비는 “점검 때만 준비”하면 반복 지적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법규 준수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하면 정기검사·사용전검사·수시점검의 핵심 지표가 실시간 데이터·자동 알림·증빙 패키지로 관리됩니다. 이 글은 초보 시설관리자·관리소장·건물주님을 위해 아키텍처→데이터 모델→알림 규칙→대시보드→운영 SOP를 한 번에 제시합니다.
큰 그림: “문서–현장–데이터”를 한 화면으로
모니터링은 도면·정정값·점검표(문서), 라벨·배선·장치(현장), 측정·로그(데이터) 3요소를 한 대시보드로 묶는 일입니다. 목표는 세 가지입니다.
-
지연 제로: 기준 이탈 즉시 알림(이메일/모바일).
-
재현성: 값·허용치·측정일·계측기 교정 유효를 함께 저장.
-
증빙 자동화: 사진(전/후 동일 앵글·치수(mm) 오버레이)·로그·도면을 결과표에 자동 링크(QR)로 연결.
시스템 아키텍처(현장 적용형)
수집 레이어
-
Zs(루프임피던스), RCD 동작(전류·시간), 접지저항/연속성, ATS 자동/수동·복전 시간, 열화상, 전력계·역률·피크, SPD 상태(계층·접속 길이 mm 기록), 교정·교육 로그.
-
파일 규칙:
YYYYMMDD_항목_분전반/구역_버전.csv/pdf/jpg.
저장·정제 레이어
-
데이터베이스(또는 시트) 필수 필드:
항목, 값, 단위, 허용치, 판정, 장비ID, 교정유효일, 위치코드, 사진ID, 도면ID, 결과표ID, 작성자, 검토자. -
표준 단위 강제: 220/380 V, 60 Hz, kA, kVA, A.
시각화·알림 레이어
-
대시보드 위젯: Zs 합격률, RCD 합격률, ATS 시간(자동/수동/복전), 도면–라벨 일치율, SPD 요건 충족률, 교정·교육 100% 지표.
-
알림 규칙: “임계치 초과/유효기간 임박/로그 누락/사진 미첨부/구버전 도면 사용” 트리거.
데이터 모델
필드명 | 설명 | 예시
항목 | 검사/점검 항목 | Zs(220 V), RCD, ATS, SPD, 접지
값 | 측정/합산 값 | 0.96, 6.2, 42, 3'10"
단위 | 표준 단위 | Ω, s, A, kA, kVA
허용치 | 기준/임계 | Zs ≤ 1.20 Ω, ATS 자동 5–8 s
판정 | 합/불/주의 | 합
위치코드 | 분전반/회로/실 | DB-3F-Lighting-12
장비ID | 계측기 식별 | INS-ET-001
교정유효일 | 교정 만료일 | 2026-04-03
사진ID | 전/후·치수(mm) | PIC-DB3-20251101-A/B
도면ID | 최신본 참조 | DWG-DB3-v1.3
결과표ID | 8칸 표 키 | RPT-2025Q4-07
작성자/검토자 | 이중화 | Kim/Lee
사진 캡션에는 상호 참조를 남기세요: “도면 p.12 / 결과표 #07 / 교정 2025-04-03 유효”.
알림 규칙(임계치 샘플)
-
Zs(220 V):
측정값 > 1.20 Ω→ 즉시 알림 + 72시간 내 재측정 요청. -
RCD: 동작 전류/시간 미충족/누락 → 즉시 알림, 회로 Type A/F/B 적합성 점검.
-
ATS: 자동 > 8 s, 수동 > 60 s, 복전 > 5분 → 운전팀 호출, 복전 카드 재교육.
-
SPD: 계층(T1/T2/T3) 누락, 접속 길이(mm) 기준 초과 → 경로 보정·차단 연계 도면 갱신.
-
도면–라벨–스케줄: 일치율 < 95% → MOC 7일 내 업데이트·구버전 회수 기록.
-
교정/교육: 유효율 < 100% 또는 14일 이내 만료 예정 → 대체 장비·보충 교육 배정.
대시보드 구성
상단 KPI(게이지/트렌드)
-
Zs 합격률 99.2%, RCD 100%, ATS 자동 6.2 s / 수동 42 s / 복전 3분 10초, 도면 일치율 97.1%, SPD 접속 길이 90 mm 달성, 교정·교육 100%.
중단 표(8칸 결과표 연결)
-
항목/근거/기준/측정/판정/기한/책임/증빙 → 행마다 사진·도면·로그 QR 연결.
하단 이벤트 타임라인
-
정전/트립/교체/시정 조치 히스토리(원인·조치·검증·증빙 링크).
4주 도입 로드맵(SOP)
주 1: 설계·목표 설정
-
KPI·임계치 합의:
-
Zs(220 V) ≤ 1.20 Ω, RCD 100%, ATS 자동 5–8 s / 수동 30–60 s / 복전 ≤ 5분, 도면–라벨 95%↑, SPD 계층·접속 길이 mm 충족, 교정·교육 100%.
-
-
폴더 구조·파일명·사진 규칙 확정, 패널 도어 QR 위치 선정.
주 2: 수집 자동화·표준화
-
계측기 CSV 내보내기 경로 통일, RCD/ATS 로그 서식 통합, 사진 촬영 전/후 동일 앵글·치수(mm) 오버레이 템플릿 배포.
주 3: 대시보드·알림 구축
-
위젯·게이지·히트맵 구성, 알림 시나리오 테스트(이탈→티켓 발행→해결→재검증).
주 4: 리허설·폐루프 체계
-
모의 감사: “수전→분전반→말단(Zs/RCD)→SPD/접지→ATS→관통부”.
-
지적–개선–재검증 폐루프 8칸 결과표로 종결.
8칸 결과표(모니터링판)
항목 | 근거(법/기준) | 기준/허용치 | 측정/증빙 | 판정 | 조치/예방 | 기한/책임 | 완료증빙
Zs(220 V) | 기술기준 | ≤ 1.20 Ω | 평균 0.96 Ω(60점) | 합 | 분기 표본 유지 | 상시/김OO | p.10
RCD 동작 | 기술기준 | 전류/시간 | 테스트 로그 | 합 | 인버터 Type 검토 | 분기/이OO | p.15
ATS 절체·복전 | 운영기준 | 5–8 s/30–60 s/≤5' | 6.2 s/42 s/3'10" | 합 | 월/분기 드릴 | 상시/박OO | p.20
SPD 경로 | 설계/시방 | 계층·접속 길이 mm | T1/T2/T3·90 mm | 합 | 차단 연계 도면 | 반기/최OO | p.25
도면-라벨 | 내부 규정 | ≥ 95% | 97.1% | 합 | MOC 7일 반영 | 상시/문OO | 리포트
교정/교육 | 내부 규정 | 100%/100% | 100%/100% | 합 | 만료 알림 | 월/품질팀 | 대장/출석
보안·거버넌스 필수 요건
-
권한 분리: 작성/검토/승인 3단, 외주 접근은 읽기 전용.
-
감사 로그: 데이터 변경 이력(누가·언제·무엇을).
-
백업/보존: 대시보드 스냅샷 월 1회 PDF, 로그·사진·도면 3–5년 보존 권장.
-
개인정보 최소화: 이름 대신 역할/사번, 위치코드 사용.
벤더·도구 선택 체크리스트
-
CSV 내보내기/가져오기 쉬움
-
임계치·알림 조건 커스터마이즈
-
사진(치수 mm 오버레이)·문서(QR) 링크 지원
-
사용자 권한·감사 로그·백업 정책
-
모바일 뷰·오프라인 입력(현장용)
-
비용·확장성·API 유무
운영 주기와 KPI(현장 적용 캘린더)
-
월간: ATS 무부하, RCD 표본 시험, 도면–라벨 샘플링, 교정·교육 현황 100%.
-
분기: ATS 유부하 시험, Zs 60점 샘플, SPD·접지 집중 점검.
-
반기: 관통부 방화 전수(인증–라벨–시공 사진–점검표 4종 일치), 교정 성적 일괄 점검.
-
연 1회: 내부감사 리허설(질의응답 3문장 스크립트).
자주 묻는 질문(FAQ)
Q1. 도입 비용이 부담됩니다.
A. 처음엔 스프레드시트+클라우드 폴더+QR만으로 시작해도 충분합니다. 핵심은 데이터 표준·알림 규칙입니다.
Q2. 자동 수집이 어렵습니다.
A. 월·분기 루틴으로 CSV 업로드만 정례화해도 KPI·증빙이 돌아갑니다.
Q3. 유부하 시험이 위험합니다.
A. 단계적 유부하·시간 제한·감시 인력 보강과 함께 위험성 평가와 온도/알람 로그를 병행하세요.
Q4. 외주 대행이 관리하면 끝인가요?
A. 아닙니다. 최종 책임은 관리주체입니다. 내부 대시보드·알림·폐루프 체계가 있어야 신뢰를 얻습니다.
현장 체크리스트
-
KPI·임계치 설정: Zs(220 V ≤ 1.20 Ω), RCD 100%, ATS 5–8 s/30–60 s/≤5분, 도면 95%↑, SPD 계층·접속 mm, 교정/교육 100%
-
데이터 모델·파일명·사진 규칙(전/후 동일 앵글, 치수(mm) 오버레이)
-
대시보드 위젯·QR 링크·알림(이탈/임박/누락/구버전)
-
월/분기/반기 운영 캘린더, 지적–개선–재검증(폐루프) 8칸 결과표
-
권한 분리·감사 로그·백업·보존 정책
본 글은 일반 시설 전기 안전 안내이며, 관련 법령·관할 기관 지침을 우선하세요. 업데이트: 2025-11-03
